연관토픽
출제
개념 : SW 제품 품질 향상을 위한
- 국산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향상을 통한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 활성화 정책으로 소프트웨어 시험 인증센터가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개발한 한국형 소프트웨어 품질 인증제도
- 국산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증명하는 국가 인증제도로 제품이 사용될 실제 운영환경의 테스트 시스템을 갖추어 제품의 품질을 인증하는 제도
- 제품이 사용될 실제 운영환경의 테스트 시스템을 갖추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 특성을 국제 표준의 시험 평가방법에 따라 종합 평가하여, 설정 기준 이상의 품질 수준의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 제도
- GS 인증이 준용하고 있는 국제 SW 품질 표준이 ISO/IEC 9126-2 에서 25023 으로 변경(보안성 시험 추가)
GS 제정목적
- 소프트웨어 시험·인증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을 통한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향상 유도 및 중소·벤처기업 육성지원
- 우수 소프트웨어 발굴 및 인증서 수여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구매를 촉진함으로써 국내 소프트
- 웨어 시장의 활성화
- 국제적 수준의 시험·인증 서비스 제공을 통한 국산 소프트웨어의 해외수출 지원
GS 인증 법적 근거
-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제13조 : 품질인증
-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령 제9조, 제10조 : 인증기관, 인증기준, 대상, 절차, 요건
GS 인증의 장점
장점 | 내용 |
품질이 개선되고 비용 절감 |
|
마케팅/홍보용이 |
|
다양한 제도적 혜택 |
|
GS 인증 평가 모델
-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에 따라 국산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과 국 내소프트웨어산업의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생긴 제도로서, 국제표준(ISO/IEC 9126, 12119, 14598 등)에 준하여 개발한 한국형 평가모델에 기반한 제도
- ISO/IEC 25023, 25041, 25051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기능적합성, 성능효율성, 사용성, 신뢰성, 보안성 등에 대한 시험 수행
GS 인증 평가 시험 및 인증 절차 [응용123-2]
인증절차 | 설명 | 비고 |
신청서 접수 | 분석 및 설계를 거친 SW 의 제 3 자 인증 의뢰 | TTA 및 KTL 에 의하여 인증 |
시험(회귀) | 수정 내용에 대한 Side Effect, Riffle Effect 에 대한 영향도 분석 | Reset All, Selective, Priority 기반의 Testing |
결함 리포트 송부 | 결함 여부에 따른 개선 혹은 상정여부 판단 | 반복적 테스팅 의뢰 |
(의뢰자) 품질개선 | 의뢰자 주체로 결함 리포트 기반의 품질개선 수행 | Cycle Processing |
보고서 작성 | 제 3 자 인증을 위한 보고서 전달 | Report 형식에 맞춰 작성 |
GS 인증 주요 제도
제도 | 설명 |
우선 구매 제도 | 중소기업 SW가 GS 인증을 획득하였을 경우 공공기관의 우선구매 지원 |
성능 인증 제도 | 중소기업 SW가 GS 인증 제품인 경우 성능검사를 면제하고 성능인증 부여 |
성능 보험 제도 | GS 인증 제품의 성능저하로 발생하는 계약상의 손해를 배상하여 주는 제도 |
구매자 면책 제도 | 성능보험에 가입된 성능인증제품(GS 인증제품)을 구매한 공공기관 구매자가 성능인증 제품 구매로 인하여 발생한 손실에 대해 면책을 부여하는 제도 |
모범답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