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토픽
- [하위] IPv6 Stateless auto configuration
- [하위] IPv6 ND(Neighbor Discovery)
- [하위] IPv4/IPv6 전환방법
- [하위] 캐스팅 모드(casting mode)
- [연관] IPv6 보안
- [연관]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개념
- IPv4 주소 고갈 문제의 임시해결책인 CIDR과 사설 IP주소, NAT의 도입과 더불어 기존 IP 주소 체계에서의 여러 가지 단점들을 수정, 보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주소체계
- IPv4가 가지고 있는 주소고갈, 보안성, 이동성 지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128bit 주소체계의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 1998년 IETF에서 IPv4 주소부족 해소와 무한대의 IP 주소 공급을 위하여 개발한 128bit 체계의 차세대 인터넷 주소
IPv6의 등장배경
등장배경 | 설명 |
인터넷 주소 수요급증 | 최근 유무선통합서비스 제공, 스마트 폰 보급 확산 등에 따른 무선 인터넷서비스 활성화로 인해 인터넷주소(IP) 수요가 급증 |
인터넷 주소 할당 종료시점 도래 |
전세계 인터넷주소(IPv4)는 43 억개로 최근 IP 수요증가 추세로 볼 때 신규대응 불가능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 |
스마트그리드, 스마트빌딩, 사물지능통신(M2M, IoT) 등 새로운 네트워크 융합 서비스 환경에서의 다양한 Smart 서비스 기반 제공을 위함 |
IPv6 주소의 특징
특징 | 설명 | 비고 |
확장된 주소 | 32bit에서 128bit으로 주소 확장 | 주소 부족문제 해결 |
헤더포맷 간소화 | IP 패킷 처리 효율적 | 헤더가 차지하는 대역폭 감소 |
QoS 보장 | 멀티미디어 실시간 전송의 QoS 보장 | Label 기반 고속 스위칭 |
보안 강화 | 보안, 인증확장헤더, 인터넷 계층 보안 기능 | IPSec 헤더 |
이동성 지원 | 자동 주소 설정기능 지원 | Plug & Play 지원 |
기본 헤더 구조
- IPv6의 패킷도 기본 헤더와 사용자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
- 기본 헤더는 IPv4와 달리 40 바이트로 고정
- 사용자 데이터 영역은 확장 헤더와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
구분 | 설명 |
Version(4비트) |
|
Traffic Class(8비트) |
|
Flow Label(20비트) |
|
Payload length(16비트) |
|
Next header(8비트) |
|
Hop limit(8비트) |
|
Source/Destination Address (각 128비트) |
|
확장 헤더 구조
우선순위 | 유형 | 설명 | 프로토콜 번호 |
2 | 홉-바이-홉(Hop-by-Hop) |
|
0 |
3,8 | 목적지(Destination) |
|
60 |
4 | 소스 라우팅(Source Routing) |
|
43 |
5 | 단편화(Fragmentation) |
|
44 |
6 | AH(Authentication) |
|
51 |
7 | ESP(Encapsulation Security Payload) |
|
50 |
9 | 이동성(MIPv6) |
|
135 |
IPv6 주소 유형
구분 | 설명 |
유니 캐스트 | Unicast, 컴퓨터와 같은 단일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주소 |
애니 캐스트 | Anycast, 모두 단일 주소를 공유하는 컴퓨터들의 집합으로 정의. 애니캐스트 주소인 패킷은 가장 가까이 있는 애니캐스트 그룹 구성원에게만 전송 |
멀티 캐스트 | Multicast, IPv4에서의 멀티캐스트와 같은 개념으로, 멀티 캐스트 그룹 멤버들에게 패킷이 전송 |
유니캐스트 주소
구분 | 설명 |
개념 | - 단일 인터페이스를 지정하여 1:1 통신 시 서로 간의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주소 |
방식 | (1) Global Unicast![]() - 현재 사용 중인 IPv6 글로벌 대역은 2001::/16, 2002::/16, 2003::/18, 3FFE::/16 등을 사용 (2) Unique Local unicast Address ![]() - 특정 지역 내에서만 유효 - Global ID의 경우 있을지도 모르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랜덤한 수로 하여 채워짐 (3) Link Local Unicast Address ![]() - 링크 로컬 주소는 다른 링크의 글로벌 주 소 및 링크 로컬 주소와는 통신이 불가능 - 링크 로컬 주소는 FE80::/10의 고정된 대 역과 interface의 EUI-64 ID의 결합으로 이루 어짐 |
애니캐스트 주소 [117응1교시]
구분 | 설명 |
개념 |
|
특징 | - 라우팅 효율화 : 한 호스트가 호스트 그룹을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효과적으로 갱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계 - 최단거리 전송 : 어떤 게이트웨어 호스트가 가장 가까이 있는지를 결정한 후 그 호스트에 패킷을 보낼 수 있음 |
주소형식 | ![]()
|
패킷전달 | ![]()
|
멀티캐스트 주소 [117응1교시]
구분 | 설명 |
개념 |
|
주소형식 | ![]()
|
패킷전달 |
|
IPv4 vs. IPv6
구분 | IPv4 | IPv6 |
주소길이 | 32비트 | 128비트 |
표시방법 | 8비트씩 4부분으로 나뉜 10진수 예) 192.168.10.120 |
16비트씩 8부분으로 나뉜 16진수 예) 2001:0:4137:9e76:1086:3ee3:2274:e11c |
주소개수 | 약 43억개 | 약 31조개 |
주소할당 | A, B, C, D 등 클래스 단위 비순차적 할당(비효율적) | 네트워크 규모 및 단말기 수에 따른 순차적 할당(효율적) |
품질제어 | 품질보장 곤란 | 등급별, 서비스별로 패킷 구분 가능해 품질 보장 용이 |
헤더크기 | 고정 | 가변 |
QoS | Best Effort 방식/보장 곤란 | 등급별, 서비스별 패킷구분/보장 |
보안기능 | IPSec 프로토콜 별도 설치 | 확장기능에서 기본 제공 |
Plug&Play | 지원안함 | 지원 |
모바일IP | 곤란 | 용이 |
웹 캐스팅 | 곤란 | 용이 |
전송방식 | multi, uni, broadcast | multi, uni, anycast |
모범답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