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토픽
- [상위] CSMA(다중 접근 방식,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연관]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개념
- 통신을 위해 스테이션이 프레임 전송 후 채널의 충돌을 감지하여 재전송을 시도하는 다중접속 기법
- 유선 LAN의 반이중 방식(Half Duplex)의 이더넷(Ethernet)에서, 각 단말이 신호 전송 전에 현재 채널이 사용 중인지 체크하여 전송하는 매체 엑세스 제어 방식
- CSMA/CD 는 채널의 전체 이용률이 비교적 낮을 때(30% 이하) 최적의 상태로 동작함
- 같은 반송주파수를 사용하는 다중화된 데이터 흐름의 상호충돌을 방지하는 반송파 감지식 다중접속(IEEE 802.3)
CSMA/CD의 핵심원리
원리 | 설명 |
Collision Detection | 시그널 전압이 단일 스테이션의 시그널 전압보다 높아질 경우 충돌 감지 |
재전송 알고리즘 | 충돌 발생하면 지속적으로 재전송 시도 |
CSMA/CD의 동작방식
- CSMA/CD 방식은 유선 링크에서 충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방식이며, CSMA 방식에 충돌 처리 절차를 추가한 방식임
동작절차 | 설명 | |
① | 프레임 전송 준비 | - Persistent mechanism 중 하나를 이용해 프레임 송신 준비 |
② | 채널 감시 | - 충돌(collision)이 발생했는지 채널 감시 - LBT: Listen Before Talk, 송신 전 신호 검출(Carrier Sensing) |
③ | 데이터 전송 및 채널 감시 | - LWT: Listen While Talk, 송신 중 지속적으로 충돌 감지 (Collision Detection) |
③-① | 전송 완료 | - 모든 프레임 전송 성공까지 다른 전송이 감지되지 않음 |
③-② | Jamming 신호 전송 | - 충돌 감지 시 충돌 신호(Jamming Signal) 전송 |
④ | 전송 횟수 증가 | - K = K+1 |
⑤ | 전송 획수 확인 | - K가 최대값(보통 15)보다 크면 전송 중지 |
⑥ | Backoff(wiat time) 결정 | - Binary Exponential Backoff 알고리즘으로 임의 지연시간 선택 - Wait Time = R * Maximum propagation time(상수) 또는 Wait Time = R * Average transmission time for a frame(상수) - R=0~(2^K –1) 사이의 수 |
⑦ | Backoff time 대기 | - 재충돌 방지를 위해 Backoff time 대기 후 재전송 |
.
CSMA의 지속방식(Persistent mechanism)
- 채널이 사용중이거나 휴지상태 일때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대한 방식
지속방식 | 동작방식 | 설명 |
1-persistent |
|
|
non-persistent |
|
|
p-persistent |
|
모범답안
참고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