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토픽
출제
개념
- 데이터 통신 표준은 사실적 표준(De facto Standard)과 법률적 표준(De jure Standard)로 구분
구분 | 설명 |
사실 표준 | - De facto Standard - 주로 제조업체에 의해 새로운 상품이나 기술 규격이 폭넓게 사용됨으로써 표준으로 채택 |
법률 표준 | - De jure Standard - 공인된 기관에 의해 제정된 표준 |
표준기구
구분 | 설명 | 제정표준(예) |
ISO | - 국제 표준화 기구,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 지적 활동이나 과학, 기술, 경제활동 분야에서 세계 상호간의 협력을 위해 1946년 설립한 국제기구 |
OSI 모델 |
ITU-T | -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s Sector) - 국제전기통신 표준화부분으로 ITU의 산하기관 |
ITU-T G.711 |
IEEE | - 전기전자공학회,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미국표준협회(ANSI)에 의해 미국국가표준을 개발하도록 인증 받은 전문기구 |
IEEE 802.3 IEEE 802.11 IEEE 802.15 |
EIA | - 전기산업협회, Electronic Industries Assocation - 미국 전자 공학회, 전자기계의 치수, 측정법, 표시법 등의 규격 통일을 기획하는 단체 |
TIA-568-B |
W3C | -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World Wide Web Consortium - 웹 표준을 제정하는 등의 웹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 1994년 창립된 인터넷 관련 국제 컨소시엄 |
HTML HTML5 |
OMA | - 개방형 모바일 연합, Open Mobile Alliance -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의 범세계적 활성화를 위해 기술 규격 개발 및 상호 운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포럼 |
SyncML |
미국 중심 IEEE-Std Framework vs. 유럽 중심 IEC-Std Framework [응용123-3]
구분 | IEEE-Std Framework | IEC-Std Framework |
명칭 | 전기전자공학 전문가들의 국제조직으로 “국제 전기전자 기술사 협회” | 비정부간협의기구로 “국제전기기술위원회” |
분류 | 사실표준화기구(De-facto) | 공식 국제표준화기구(De-jure) |
역사 | 전파공학자 협회(IRE)와 미국 전기공학자협회(AIEE)를 합병하여 설립 | 1906 년 전기전자 및 관련기술 국제규격 제정 및 발간을 위해 설립 |
참여자 | 개인 또는 기업 구성원 | 국가 |
구성 | 약 160 개국 410,000 명의 회원을 가진 기술적 전문적인 비영리 조직 | 전 세계 약 70 개국 이상이 회원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각 회원국 국가 위원회가 회원 |
중심국가 | 미국(회원 50% 이상) | 유럽(영어, 불어, 러시아어 공식언어) |
표준화 대상 | 특정 기술에 대한 표준화 | 비교적 광범위한 대상 표준화 |
표준화 기간 | 신속한 절차로 2~3 년 이내 | 약 3~6 년 소요 |
표준화 방법 | 비교적 공정, 투명한 절차 마련(일부 비공개) | - 공정, 투명한 표준화 절차 마련 - 모든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참여 개방 |
결과물 | 규격(Specification) | 표준(Standard) |
우리나라 가입정보 |
개인 단위 등록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KATS)가 우리나라 국가위원회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등록 |
협력 | - | ISO/IEC JTC1(공동기술위원회) 결성하는 등 타 표준화기구와 협력 |
주요표준 | IEEE 802.3 (Ethernet CSMA/CD) IEEE 802.11 a/b/g/n (WLAN & Wifi) |
ISO/IEC 9126 (SW 품질특성과 메트릭) ISO/IEC 15408 (Common Criter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