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  [경영전략목차]

 

연관토픽

  1. [연관] PI(Process Innovation)

 

기출문제

회차 문제
관리131-2 1.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과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의 개념과 수행절차를 비교 설명하고, 기업에서 이 두가지가 상화 보완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하시오.

 

 

 

개념(https://www.youtube.com/shorts/2EMfiMEh1rw)

  •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업무 처리 방식의 재설계와 정보기술을 결합해 획기적인 경영성과 지표상의 상승효과를 이룩하기 위한 경영 혁신기법
  • 비용, 서비스, 품질, 속도 등의 기업의 핵심요소를 극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업무 프로세스를 근본적(Fundamental)으로 다시 생각하여 완전히 새롭게 혁신적(Radical)으로 재설계하는 과정(마이클 해머)
  • 기업 내의 모든 업무를 내부통제를 위한 단위부서 일(Task) 중심으로 볼 것이 아니라, 고객 지향적인 관점에서 프로세스(Process) 중심적으로 분석을 해보면 (1) 중복적이고, (2) 비부가가치적이며, (3) 낭비적인 일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를 제거시켜 일의 능률을 개선하는 과정을 Design하고 개선하는 모든 활동을 총칭 

 

 

 

BPR의 목적

  • 어떻게 하면 비용, 품질, 서비스, 속도와 같은 핵심적 성과에서 극적인 향상을 이를 수 있을까?
  • 어떻게 하면 기업 업무 프로세스를 기본적으로 다시 생각하고 근본적으로 재설계할 수 있을까?

 

 

 

BPR의 특징

 구분 설명 
 근본적인 발상

  •  기업이 수행해야 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방법을 결정하는데 초점
 제로 베이스

  •  기존의 업무 방식이나 프로세스를 완전히 무시하고 영점(Zero-base)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비즈니스 재창조
 극적인 개선

  •  경영 성과를 점진적으로 개선하기 보다 획기적으로 대폭 변화 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근본적인 작업 방식을 크게 변화
 프로세스 중심

  •  입력물을 투입시켜 고객에게 가치가 되는 출력물을 만들어 내는 활동으로 프로세스 중심으로 문제 해결에 접근

 

 

 

 

BPR의 대상

 

 

 

 

BPR의 7원칙

  • 해머와 챔피(1993)BPR 추진을 위하여 반드시 지켜야 할7가지 원칙을 제시
 구분 설명 
 1원칙
  •  업무 자체보다는 업무의 결과를 중심으로 조직화하라.
 2원칙
  •  프로세스의 결과를 이용하는 사람이 해당 업무를 수행하게 하라.
 3원칙
  •  정보처리 업무는 정보를 실제로 생산하는 업무에 포함시켜라.
 4원칙
  •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자원을 마치 중앙에 집중되어 있는 것처럼 취급하라.
 5원칙
  •  병행 업무에 대해서는 결과의 통합이 아닌과정의 연결을 시도하라
 6원칙
  •  의사 결정점을 실제로 업무가 수행되는 곳에 두고통제를 처리과정의 일부로 만들어라
 7원칙
  •  정보는 한 번만 그 원천(발생지역)에서 파악하라.

 

 

 

 

BPR 추진영역

  • BRP은 프로세스 자체의 변화 외에도 기업의 제도, 조직, 시설 등 관련된 모든 영역에 걸쳐 변화 후의 모습에 대한 정의 및 실제 구현과정 필요

 

 

 

BPR 진행방법

 

 

 

 

BPR 수행절차

 구분 설명 
기업 목표설정 
  • 기업 비전과 프로세스 재설계의 목적 설정
  • 원가절감, 시간절약, 업무 개선, 품질 증대 등
 대상 프로세스 선정
  • 주요 프로세스 식별 및 영역 설정
  • 전략적 평가, 우선순위 식별
 현행 프로세스 이해
  • 선정된 프로세스의 이해 및 현재 작업 방식 확인
  • 프로세스 성취도 평
 프로세스 목표 설정
  • 프로세스로 개선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
  • 기업 비전과 목표와 연계
 개선 프로세스 설게
  • 설정된 프로세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신 프로세스 설계
 변화 모형 개발
  • 개선 프로세스의 프로토타입 설계와 시범 운영
  • 조직과 기술의 저, 문제점 개선사항 조정
 구현
  • 현행 프로세스에서 개선 프로세스로의 전환
  • 위험 부담 최소화 전략
 운영
  •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운영하고 품질 경영으로 이행

 

 

 

과제도출 및 BPR 진행 Cycle

  • 기업 BPR 진행은 전체적으로 Plan-Do-See의 Loop로 진행되며, 1 cycle이 보통 1~2년

 

 

 

BPR에 의한 과제 개선영역

  • BPR을 통해 개선되는 프로세스는 IT의 변화, 조직/인력의 변화, 시설의 변화, IT의 변화를 수반

 

 

 

 

BPR vs. BPM

구분  BPR  BPM 
개념  경영혁신기법, 프로세스 중심 비정형적 업무방식을 정형화/표준화, 프로세스의 최적화 실현
 대상 업무처리 재설계 정보기술 결합, Core-Process
요한 프로세스 선정, 프로세스 라이프사이클 관리
 특징 단기에 획기적 경영성과 이룸
프로세스 기반의 지속적인 업무혁신
 목적 치열한 경영 환경에서의 경쟁력 우위 확보
업무 프로세스의 최적화자동화통합을 통한 기업가치의 향상
 R&R 전문 경영 관리인
업무담당관리자 등 현업부서
 단점

단기간 혁신으로 실패 확률이 높음
기존 시스템의 통합 기능미비, 프로세스의 자동화된 라우팅 약함

 

 

 

 

모범답안

  1. [답안] PI vs. BPR(1교시)
  2. [답안] PI vs. BPR(1교시)

 

 

 

 

Reference


  1. (Document) 가치 혁신적 요구공학 프로세스를 적용한 BPR과 정보시스템의 통합 구축 방법론
  2. (Web) 업무프로세스 재설계(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