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토픽
개념 :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프로세스
- 소프트웨어 신뢰성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절차 등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수립의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국제표준
IEEE 1633의 절차
- 소프트웨어 사용 도메인을 분석하고, 신뢰성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명세한 이후 신뢰성을 평가하여야 함
단계 | 설명 | 산출물/고려사항 |
어플리케이션 확인 |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와 예측 대상이 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모든 컴포넌트들이 식별 | 기능 프로 파일 개발 프로세스의 이해 개발 환경의 이해 |
신뢰성 요구사항 명세 |
소프트웨어 신뢰성 관련 요구사항들에 대한 명세를 기술 | SW 신뢰성 요구 정의서 SW 위험 평가 결과서 |
신뢰성 요구사항 할당 |
소프트웨어 신뢰성 목표 수준 수립 소프트웨어 척도(Metric) 조사 소프트웨어 척도 식별 |
SW 신뢰성 목표 수준 정의서 SW 신뢰성 척도 조사서 SW 신뢰성 척도 정의서 데이터 수집을 위한 템플릿 정의서 |
신뢰성 위험분석 수행 |
요구사항과 요구사항의 변경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결점이나 에러에 대한 신뢰성 위험 분석 수행 | 지속적인 위험 식별, 분석, 해결, 관리 |
에러, 결함, 실패의 정의 |
테스터, 개발자, 사용자(고객) 간 에러, 결함, 실패에 대한 정의 협의 | 테스트 시작 단계 이전에 협의 |
운용 환경 기술 |
사용자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기술 | 시스템 형상 및 전개 시스템 운용 프로파일 |
테스트 선택 | 실제 운용 환경과 유사한 조건, 가혹한 조건, 신뢰성 모델을 고려한 테스트 선택 | 시스템이 실제로 어떻게 사용될지를 반영 |
모델 선정 |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델을 선택하고 적용(예측모델, 추정 모델) | 소프트웨어 개발단계에서 사용되는 시기가 다름 |
데이터 수집 | 명확한 데이터 수집 목적에 따른 적합한 데이터를 수집 및 검토 | 데이터 수집 계획서 데이터 수집 평가 보고서 |
파라미터 평가 | 파라미터 평가 방법을 선택 | 적률법, 최소제곱법, 최우법 |
모델검증 | 선정된 모델에 대한 검증 수행 | 수집 데이터와 파라미터 추정방법에 대한 확인 포함 |
평가와 예측 분석 수행 |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식별된 척도 분석,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델에 의한 신뢰성 분석 수행 | 데이터 분석 결과서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결과서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델 정의서 |
부가 테스트 예상 |
소프트웨어 초기 신뢰성 목표값과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델을 통한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부가적 테스트 기간을 예상 | 추가적인 테스트 기간예측 |
-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프로세스를 통해 요구사항분석에서 구현 단계까지는 산출물기반의 신뢰성을 평가하여
잔존 결함을 최소화 하고, 시험 및 운영 단계에서는 각 SDLC 단계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현재
의 신뢰성을 결정할 수 있음
IEEE 1633 적용분야
- 소프트웨어 신뢰성 위험 분석
-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신뢰성 요구사항 만족도 평가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개선과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프로세스
- 소프트웨어 신뢰성 예측∙추정을 위한 데이터 수집 절차
- 소프트웨어 납기일, 시험 및 개발 종료 시점 결정
-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차기 결함 발견 예상시점 및 기타 측도 계산
- 신뢰성 개선을 위해 수정이 필요한 소프트웨어 시스템 요소 식별
-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를 통해 유지보수가 필요한 소프트웨어 시스템 요소 식별
- 소프트웨어 안정성 보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