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토픽
기출문제
회차 | 문제 |
관리133-3 | 5. 소프트웨어 요구공학(Requirement Engineer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요구공학 정의 및 필요성 나. 요구공학 절차 다. 요구사항 명세서 |
개념 : 사용자의 명확한 기능/비기능 요구사항 적용을 위한
- 요구사항의 도출, 분석, 명세, 검증 및 변경관리 등에 대한 제반활동과 원칙에 대한 체계적이고 총체적인 접근
- 사용자의 요구대로 SW 시스템 개발을 위해 요구사항의 추출, 명세, 통제 및 변경 관리하는 체계적인 접근방법
-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문서화하는데 필요한 요구분석, 추출, 명세, 검증 및 유지보수, 관리를 포함한 제반공정에 대한체계적인 공학적 접근방법
요구공학 목적
- 이해관계자 사이에 효과적인 통신수단을 제공하고 요구사항에 대한 공통 이해설정
- 요구사항 손실방지 및 에러감지로 불필요한 수정비용 절감
- 구조화된 요구사항으로 요구사항 변경추적을 가능하게 하고 프로젝트 수행기간 동안 관리에 있어 프로젝트 비용 초과와 기간지연 예방
요구공학 필요성
- 시스템의 개발, 변경의 목적(What)을 식별하기 위해 이해 관계자들의 요구를 이해 및 조정하여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명세화, 검증 필요함.
요구공학 프로세스
단계 | 주요활동 | 설명 | |
타당성 조사 | 적용기법 | 질문지(공헌 요소, 통합 시 문제점, 신기술, AS-IS문제점) | |
적합성 평가 | 시스템 구축 가능성 평가: 예산, 기술, 일정, 법적 요소 통합성 평가: 타 시스템과의 연동, 통합 가능성 |
||
추출 | 추출기법 | 인터뷰, 시나리오, 작업분석, BPR, 프로토타이핑, RFP, 워크샵, 벤치마킹 | |
추출프로세스 | 적용 도메인, 비즈니스 문제, 참여자 요구, 제약사항 | ||
요구사항평가 | 요구사항 수집, 요구사항 정제, 요구사항 분류 | ||
고려사항 | 위험 평가, 우선순위 평가 | ||
분석 | 분석기법 | 구조적 분석: DFD, Data Dictionary, mini Spec, ERD 유스케이스(Use Case) 기반 분석: UML, 모델링 |
|
분석활동 | 도메인 분석 : 문제영역 분석, 인터페이스 설정 | ||
요구사항 분석 : 목표분석, 요구사항 구조화, 구조 모델링 | |||
행위 분석 : 인터페이스 조건에 대한 행위 정의/분석, 참여자들의 조건/행위 분석 | |||
분석기준 | 시스템을 계층적이고 구조적으로 표현 외부 사용자와 내부 시스템의 구성요소와의 인터페이스를 정확히 분석하고 분석단계 이후의 설계와 구현단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
||
정의/명세 | 명세 기술 | ER(Entity-Relation) 모델링, FSM(Finite State Machine), SADT(구조적 분석과 디자인 기술) | |
명세 원리 | 명확성, 완전성, 검증가능성, 일관성, 수정용이성, 추적가능성, 이용성 | ||
핵심 내용 | 시스템이 무엇(What)을 수행할 것인가를 기술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해결방법은 기술하지 않음 | ||
검증 | 검증기법 | 검증(Verification) | 각 단계의 산출물이 이전단계에서 결정된 개발규격과 요구들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활동 |
확인(Validation) | 각 단계의 산출물이 최초 사용자 요구 또는 소프트웨어 요구에 적합한지를 입증하기 위한 활동 | ||
검증 근거 | 조직지식, 조직 표준, 요구사항 문서 | ||
주요 검증 | 타당성 검증, 명세구조 검증, 공통어휘 검증 | ||
승인 기준 | 문서화, 명확성, 간결성, 이해성, 시험성, 사용성, 추적성, 검증성 | ||
검증 결과 | 요구사항 문제 보고서 |
요구사항 개발과 요구사항관리
요구사항 추출 및 분석 프로세스
프로세스 | 설명 |
요구사항발견 | 제안된 시스템과 기존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이러한 정보로부터 사용자 요구사항과 시스템 요구 사항을 걸러내는 프로세스 • 정보의 출처: 문서, 시스템 이해당사자, 유사한 시스템의 명세 포함 • 방법: 인터뷰와관찰을통한이해당사자와대화, 관점, 프로토타입과시나리오사용 |
요구사항 분류와 구성 | 모아진 요구사항을 취합하여 관계된 사항끼리 분류하여 하나의 클러스터로 모아가는 작업 |
요구사항 우선순위 설정 및 협상 |
요구사항들에게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협상을 통해 상충되는 요구사항을 찾아내고 이를 해결 |
요구사항 문서화 | 요구사항은 문서화되어 다음 단계로 진입, 정형화된 요구사항과 비정형화된 요구사항 문서가 만들어짐 |
요구사항 추출
- 적용도메인, 문제, 제약사항, 참여자의요구등을통해요구사항을추출
- 개발유형, 범위, 투입자원, 요구사항과 관련된 참여자의 요구사항을 기준으로 요구사항 생성의 타당성 확보
요구사항 수집 및 도출기법
절차 | 내용 |
인터뷰(Interview) |
|
포커스 그룹 (Focus Group) |
|
심층 워크샵 (Facilitated Workshop) |
|
집단창의력기법 (Group Creativity Workshop) |
|
집단 의사결정 기법 (Group Decision Making Technique) |
|
설문지 및 설문조사 |
|
관찰(Observations) |
|
프로토타입 (Prototypes) |
|
벤치마킹 (Benchmarking) |
|
컨텍스트 다이어그램 |
|
문서분석 (Document Analysi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