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토픽
개념
- 인터넷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해 비디오 콘텐츠(VOD, Video on Demand)를 다운로드 하거나 스트리밍하는 서비스
-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시간 혹은 비실시간으로 방송망이나 폐쇄 인터넷망이 아닌 범용 인터넷망을 통해 다양한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 기존의 TV가 아닌 인터넷이 가능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방송, 영화, 교육의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 오픈 인터넷망을 통해 이용자에게 동영상을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Code-Cutting 개념
- 방송 시청자가 유료 케이블 방송을 해지하고 OTT(Over The Top) 기반의 인터넷TV, 스트리밍 서비스 등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현상
OTT의 특징
특징 | 설명 |
다양성 | 전통적 방송 사업자 뿐만 아니라 제3자 제작 컨텐츠 혼재 |
경제성 | 컨텐츠 소비에 드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 |
탈제약성 |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컨텐츠를 원하는 장소에서 소비 |
OTT 서비스 구성도
- 컨텐츠 제공자는 다양한 클라이언트(TV, Tablet, Labtop, Smart phone 등)로 요청받은 서비스 제공
OTT 구현 기술요소
구분 | 기술요소 | 설명 |
컨텐츠 서비스 생명주기 측면 |
HEVC 고화질 코덱 기술 |
- ITU-T H.265, ISO/IEC 23008-2 코덱 표준 기술 - 예측모드, 병렬화, 블록기반 트리구조 통한 용량 50% 감소 |
CDN 콘텐츠 배포 기술 |
- CDS(배포시스템), Cache/Load Balancing/Streaming 서버 - 지역성 기반 검색 성능, 부하 분산 및 부분장애내성 제공 |
|
적응형 영상 스트리밍 기술 |
- MPEG-DASH, M3U8 기반 Adaptive HTTP Streaming 기술 - HTML5 재생, Bandwidth/CPU 상황 따른 화질 QoS 제공 |
|
DRM 저작권 보호 기술 |
- 실시간 암복호화, 포렌식 워터마킹 기반 Plug-in DRM - Trackable DRM 통한 컨텐츠 저작권 보호 강화 |
|
서비스 플랫폼 최적화 측면 |
Cloud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 |
- 스마트 노드 기반 글로벌 딜리버리 클라우드 플랫폼 구성 - Context Aware 부하 분산, 스마트 캐시 활용, QoE 보장 |
MSA, Mesh Architecture |
- OPEN API(REST), HTTPS 기반 표준화 Interface 제공 - API G/W, Proxy 아키텍처 활용. 서비스 안전성/가용성 확보 |
|
추천알고리즘 개인화 서비스 |
- 머신러닝 큐레이션 제공 - 딥러닝 협업 필터링 활용, 컨텐츠 추천 및 개인화 UX 제공 |
|
5G 통신 기반 QoS 네트워크 |
- 초고화질, 초저지연 실감경제(AR/VR) 확산 - UHD(4K) 생중계, 커넥티드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형태에 따른 OTT 사업자 분류
분류 | 설명 | 사업자 |
플랫폼 및 단말기 중심 |
- 플랫폼과 단말기를 바탕으로 미디어 콘텐츠 제작 사업자들과 제휴 - 자체 컨텐츠 제작 보다는 단말 이용자와 제작자 간 Gateway 서비스 위주 |
Apple, MS |
플랫폼 중심 | - 플랫폼을 바탕으로 단말기와 콘텐츠 제작 업체들과의 협력 - 주요 방송 컨텐츠 유통을 중점으로 수행하며 오리지널 컨텐츠 확보를 위한 자체 제작을 병행 |
Netflix, Amazon, Google, Comcast, 네이 버, 카카오 |
단말기 중심 | - OTT전용 셋톱박스와 같은 단말기 중심으로 시장 진출 | Roku, Boxee, KT, SKB |
컨텐츠 중심 | -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보유의 힘을 바탕으로 사업 확장 | Hulu, CJ E&M |
OTT 관련 주요 법안('19.4.15 기준)
구분 | 법률 | 주요 내용 | 기대 효과 |
OTT 규제 근거 확립 | 통합방송법 |
|
|
국내 대리인 제도 확대 |
전기통신사업법 |
|
|
국내 서버설치 의무화 |
정보통신망법 |
|
|
OTT 정의 및 시장경쟁 상황평가 도입 |
방송법, IPTV법 |
|
|
망 이용대가 관련 금지행위 추가 |
전기통신사업법 |
|
|
넷플릭스 국내 상륙 일지('19.4.15 기준)
시기 | 내용 |
2016년 1월 | 넷플릭스 한국 진출 |
2016년 5월 | 딜라이브와 제휴, OTT 셋톱박스 '플러스 OTT박스'에 넷플릭스 탑재 |
2017년 11월 | CJ헬로와 제휴, OTT 셋톱박스 '뷰잉'에 넷플릭스 탑재 |
2018년 1월 | CJ헬로 케이블 TV 셋톱박스 '헬로tv UHD 레드'에 넷플릭스 탑재 |
2018년 5월 | LG유플러스 제휴, LTE 특정 요금제 가입 시 넷플릭스 3개월 이용권 증정 |
2018년 11월 | LG유플러스 IPTV 셋톱박스에 넷플릭스 탑재 |
전자신문
- 190527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OTT)
- 190717 넷플릭스에 맞설 토종 OTT
- 190717 한국OTT포럼 창립
- 190821 푹+옥수수 토종 대형 OTT 탄생
- 190917 통합 OTT '웨이브' 글로벌 OTT로 성장하려면
- 200708 음저협-OTT, 저작권료 갈등 쟁점은
- 200820 넷플릭스 발 OTT 논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