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토픽
- [하위] 물리계층(Physical Layer)
- [하위]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 [하위]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하위] 전송계층(Transport Layer)
- [연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연관] 캡슐화(encapsulation)
기출문제
회차 | 문제 |
응용134-2 | 6. OSI 7 계층(Layer)에 대하여 계층 별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기능 나. 프로토콜 종류 다. 데이터 종류 라. 주요장비 |
관리124-3 | 5. OSI 7 Layer의 각 계층과 특징을 설명하시오. |
관리117-1 | 11. OSI 7 Layer |
응용116-2 | 2. OSI 7 계층 프로토콜에 대하여 각 계층별 기능 및 역할, 관련 국제표준, 관련 장비 등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
개념(https://www.youtube.com/shorts/ZgoCvrdgh7w)
- 개방형 시스템의 상호접속을 위한 참조모델이며, 이 기종 시스템 간 연결 및 정보교환을 위한 ISO 네트워크 통신 표준화 규격
- 여러 정보통신장비들 간 호환성을 목적으로 ISO 단체에서 1984년에 OSI 참조모델 발표 1
OSI 7 계층의 특징
구분 | 설명 |
계층구조 | -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계층관점에서 정리 - Layer 내부의 변경에 있어 다른 Layer에 영향을 주지 않음 - 네트워크 데이터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 가능 |
계층별 장비 호환 | - Layer별로 다른 회사의 장비를 사용하여도 호환성 유지 |
Encapsulation | -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내려올 때 header, tailer 등을 첨부하여 캡슐화 |
논리 모델 | - 실제 구현 기술이 아닌 논리 모델 제시. 다양한 구현 방안 |
OSI 7 계층 구성
구분 | Upper Layer | Lower Layer |
역할 | 실제 사용자가 사용할 응용프로그램에 관여 |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확보 |
계층 | Application, Presentation, Session Layer | Transport, Network, Datalink, Physical Layer |
계층구조
계층별 기능
계층 | 설명 | 프로토콜 |
Application |
|
HTTP, SMTP, SNMP, FTP, Telent, SSH&SCP, NFS, RTSP, NTP |
Presentation |
|
JPEG, MPEG, XDR, SMB, AFP |
Session |
|
TLS, SSH, RPC, NetBIOS, AppleTalk |
Transport |
|
TCP, UDP, RTP, SCTP, SPX |
Network |
|
IP, ICMP, IGMP, X.25, CLNP, ARP, RARP, BGP, OSPF RIP, IPX, DDP |
Data Link |
|
PPP, HDLC, Ethernet, TokenRing, ISDN, FDDI |
Physical |
|
RS-232C, 광섬유, 동축케이블 |
OSI 7계층 모델의 계층별 데이터 단위
데이터 단위 | 설명 |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
- 응용계층에서 사용 |
PPDU (Presentation Protocol Data Unit) |
- 표현계층에서 사용 |
SPDU (Session Protocol Data Unit) |
- 세션계층에서 사용 |
TPDU (Transport Protocol Data Unit) |
- 전송계층에서 사요 -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TCP에서는 세그먼트(segement)라 부르고, UDP에서는 데이터그램(datagram) - 데이터그램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계층 4 프로토콜의 전송데이터를 가리킬 때도 사용 |
NPDU (Network Protocol Data Unit) |
-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 보통 패킷(packet)이라 부름 - 네트워크 계층의 전송데이터 의미 |
DPDU (Data Link Protocol Data Unit) |
-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사용 - 보통 프레임(frame)이라 부름 |
OSI 7계층 계층별 장비
장비 | 설명 | 계층 |
Hub | 여러 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한 포트에서 수신된 신호가 모든 다른 포트에 공유되도록 하는 장치 | 1계층 |
Repeater |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킨 후,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장치 | |
Bridge | 두 개 이상의 LAN을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들어주는 장치 | 2계층 |
Switch | PC를 연결시켜주고 할당되는 대역폭을 극대화 시켜주는 장치 | |
Router | 서로 다른 구조의 망을 가지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장치 | 3계층 |
계층별 프로토콜
OSI 참조모델과 LAN 참조모델
OSI 7 Layer와 TCP/IP 비교
비교항목 | OSI 7 Layer | TCP/IP |
목적 | 네트워크 통신모델 표준 제시 | 네트워크 통신 구현 |
계층 수 | 7계층 | 4계층 |
속성 | 표준 참조모델 | 프로토콜 규약 |
특성 | 정형성, 규칙성 | 유연성(연결/비연결) |
표준 | De Jure Standard(법률표준) | De Facto Standard(사실표준) |
OSI 7 Layer와 관련된 프로토콜
모범답안
Reference
- OSI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