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 [경영전략목차]

 

연관토픽

  1. [상위] 엔터프라이즈 솔루션(Enterprise Solution)
  2. [연관] 채찍효과(bullwhip effect)
  3. [연관] 가치사슬(value chain)

 


기출문제

회차 문제
 관리128-2 3. 코로나 19 로 인한 중국 물류수급 문제 및 반도체 대란에 따른 전체 산업분야에서 재고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급망관리(SCM)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공급망관리(SCM)의 개념과 중요성 대두 배경 
나. 수요 예측의 7 단계 및 수요 예측 기법
다. 안전재고 및 적정재고 산정방법

 

 

 

개념(https://www.youtube.com/shorts/7RX9tGKU4Y0)

  • 제품 생산에서 유통에 이르는 전체 프로세스에 걸쳐 협력업체와의 정보공유, 협업 등을 통해 재고관리 등 공급망 관련 의사결정에 있어 최적화를 추구하는 경영기법
  • 공급자에서 최종 소비자에 이르는 제품의 공급체인과 관련된 모든 과정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기업의 수입증가와 고객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보화된 경영혁신기법

 

 

 

SCM의 개념도

 

 

 

SCM 기능

기능 내용
공급망 전략
(Supply Chain Strategy)
  • 공급 사슬 전체의 최적화 차원에서 공급 사슬의 설계 및 개선 전략 수립
  • 공급사슬의 최적운영을 위한 조달, 분배, /배송 정책 및 운영 기준을 수립
공급망 계획
(Supply Chain Planning)
  • 수요예측, 글로벌 생산계획, 수송/배송계획, 분배할당계획 등 공급사슬의 일상적 운영을 위한 최적화된 계획 수립
공급망 실행
(Supply Chain Execution)
  • 창고, 제품 수송/배송관리, 주문관리, 유통관리 등 주로 현장 물류의 효율화와 바코드, RFID 등 디지털 도구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장 물류 관리

 

 

 

SCM 세부활동

구분 활동 설명
공급망 계획
(Supply Chain Planning)
제조계획
  • 고객에게 공급될 상품 또는 서비스의 내역에 대해서 제조에 관련된 모든 일정을 세부적으로 관리 및 조정
수요계획
  • 여러 종류의 예측(Forecasting) 기법을 이용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분석을 통하여 계획 수립
유통계획
  • 일정 관리 부분, 운송 계획 부분, 수요 계획 부분과 통합하여 물류상의 운영계획 수립(물류운영)
운송계획
  • 최소 비용으로 원재료가 공장에 배달되고 완성된 제품 또는 서비스가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 될 수 있도록 자원에 대한 배분 계획 수립
공급망 실행
(Supply Chain Execution)
주문관리
  • 주문 접수, 확인, 주문 처리
생산관리
  •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
유통관리
  • 완성된 제품 또는 서비스가 고객에게 전달 될 수 있도록 관리
역물류 관리
  • 제품에 하자가 생길 경우 제품이 보상판매가 될 경우 등 고객으로부터 상품을 반입 받는 관리

 

 

 

공급사슬의 통합 3단계

단계 설명
1단계 - 고객회사와 공급업체의 관계는 사무적이며 정보공유가 적고, 내부적으로는 구매, 생산, 물류 기능이 각자 최적화 추구
- 조직과 기능간 경계가 뚜렷하여 많은 재고가 쌓이고 전체 자재의 흐름은 효율이 낮음
2단계 - 자재관리부서를 신설하여 구매, 재고, 생산수준, 인원배치, 일정관리, 유통 등의 의사결정을 주도하여 내부적으로 재무와 회계기능까지 정보를 공유하고 자재관리시스템을 운영
3단계 - 내부의 공급사실이 공급업체와 고객을 초함하여 외부 공급사슬과 연결
- 고객과 협력하여 서로 자재흐름의 개선으로 이익을 얻고, 공급업체와도 서로 장단점을 잘 이해하며, 설계단계부터 협력

 

 

 

SCM과 ERP 비교

구분 공급망관리(SCM) 전사적 자원관리(ERP)
주요관점 계획 수립 및 의사결정 업무 프로세스 중심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중심 트랜잭션 중심
주요기능 수요 예측, 주문 관리/계획, 물류관리, 창고관리 등 생산, 영업, 자재, 구매, 재무, 회계, 인사 등
기능의 강점 수요예측, 물류, 창고관리 재무, 회계 기능
정보처리 프로세스 중심 트랜잭션 중심
업종 제조, 유통이 주요 시장 제조, 공공, 금융 등의 전 업종
업체규모 영세 제조업체의 경우에도 재고를  
줄여 도입효과 가능
대기업 위주, 중소기업의 경우
투자 대비 효과가 미미함
도입효과 판매 기회 손실 파악, 생산 수요 예측 가능 업무 프로세스 단축, 인건비 감소

 

 

 

모범답안

  1. [답안] SCM(Supply Chain Management)(1교시)
  2. [답안] Value chain vs. SCM(1교시)

 

 

 

Reference


  1. SCM-공급사슬 동기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