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관토픽
개념
- 중앙처리장치를 중심으로 주기억장치, 외부기억장치 그리고 입출력장치 등의 기본 모듈들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로
- 중앙처리장치(CPU)는 주기억장치와 직접 연결되고, 외부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는 입출력 모듈을 통해서 연결됨
- 전송되는 데이터의 의미에 따라 데이터 버스, 주소 버스, 제어 버스로 분류됨
- 동작 타이밍에 따라 동기식 버스와 비동기식 버스로 구분
시스템 버스의 구성도
시스템 버스의 유형
구분 | 유형 | 설명 |
전용 사용 여부 | 전용 버스 (dedicated bus) |
- 지정된 신호만 전송 할 수 있는 전용버스 -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용버스는 데이터 버스, 주소 만을 전달하는 전용 버스는 주소 버스, 제어 신호는 제어 버스 |
다중화 버스 (multiplexed bus) |
- 제어 신호에 의해 여러 용도의 신호를 전달하는 버스 - 주소 유효 신호를 이용해서 주소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일반 데이터를 전달 - 선의 수 효율은 높지만 시분할 다중화로 성능 저하 단점 |
|
기능 | 데이터 버스 | - 구성하는 장치들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 - 양방향 전송, 버스의 폭은 한번에 전송되는 비트 수 |
주소 버스 | - 주기억장치 주소를 전송하기 위한 선들의 집합 - 단방향 전송, CPU에서 주기억장치 및 입출력 모듈로 전송 |
|
제어 버스 | - CPU와 주기억장치 및 입출력 장치 사이 제어 신호 전송 - 양방향 전송, 읽기/쓰기, 전송확인, 버스 요구/승인, 인터럽트 |
- 시간적 관계에 따라서 버스의 동작은 동기식 버스와 비동기식 버스로 구분 가능
- 시스템 버스에 연결된 컴퓨터의 기본 장치들이 동시에 시스템 버스의 사용을 요구하는 경우 경합(contention)이 발생하고 중재(arbitration)가 필요
시스템 버스 기본 동작
동작 | 설명 |
쓰기동작 | 1. 버스 마스터가 버스 사용권 획득 후, 주소 버스를 통해 기억장치 주소 전달 2. 이와 동시에 데이터 버스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제어버스로 신호 전송 |
읽기동작 | 1. 버스마스터가 버스 사용권 획득 후, 주소 버스로 해당 장치 주소 전달 2. 이와 동시에 제어 버스를 통해 읽기 신호 전달 3. 데이터 버스를 통해 목적한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 |
동기식 버스와 비동기식 버스 동작방식
구분 | 동작방식 |
동기식 버스 | ![]() |
비동기식 버스 | ![]() |